본문 바로가기

약품정보

진통제보다 강하다? 펠루비정, 관절염에 처방되는 특별한 이유는?

반응형

허리가 욱신거리거나 무릎이 시큰거릴 때, 병원에서 흔히 처방받는 약 중 하나가 펠루비정입니다.
그런데 이 약, 그냥 통증만 잠재우는 걸까요? 아니면 염증까지 잡아주는 약일까요?
오늘은 펠루비정의 효능, 복용법, 부작용까지 제약 전문가 시선으로 정리해 드립니다!


✅ 펠루비정이란?

펠루비정(Felbuv Tablets)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(NSAIDs)에 속하며,
염증과 통증을 동시에 억제하는 약물입니다.
주성분인 펠빈산칼륨(Felbamate Potassium)은 신개념 NSAID 계열로, 관절염, 요통, 외상 통증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.

🧾 펠루비정 제약 정보 요약

구분내용
제품명 펠루비정
제약사 동아에스티
주성분 펠빈산칼륨 45.5mg (펠빈산으로서 30mg)
계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(NSAIDs)
작용기전 COX-2 선택적 억제 → 염증, 통증 완화
제형 필름코팅 정제

펠루비정은 기존 소염진통제보다 위장관계 부작용이 적고, 염증억제 작용이 뛰어난 NSAIDs입니다. 특히 선택적 COX-2 억제 작용으로 관절염 치료에 적합한 약물입니다.


🩺 펠루비정의 효능 및 효과

펠루비정은 염증성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에 주로 처방되며,
관절염, 요통, 외상 후 염증성 통증 등에 효과적입니다.

 

🧾 적용 질환 및 효과 정리

적용 질환 설명
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, 무릎·손가락 관절에 흔함
류마티스관절염 자가면역성 염증으로 관절 붓고 통증
요통 허리디스크, 근육통 등 허리 관련 통증
외상 후 통증 타박상, 염좌 등으로 인한 염증성 통증
수술 후 통증 절개부 통증과 염증 억제

펠루비정은 단순한 진통제 그 이상으로, 관절 부위 염증 자체를 줄여 원인에 접근하는 치료를 목표로 합니다.

반응형

💊 복용법 및 용량

펠루비정은 일반적으로 하루 2회 복용합니다.
식사와 관계없이 복용 가능하지만, 위장 부담이 있는 경우 식후 복용이 권장됩니다.

🧾 복용 요약

대상 용량 복용 시점 비고
성인 1정(30mg) 1일 2회 아침·저녁 식전 또는 식후 가능
고령자 1일 1~2회 필요 시 용량 조절 의사 지시에 따름

펠루비정은 하루 두 번 복용으로 지속적인 진통·소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, 장기 복용 시 간·신장 기능 검사가 병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
⚠️ 복용 금지 대상자

펠루비정은 일부 환자에겐 부작용이나 위험이 있으므로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.

🧾 복용 금기 대상 정리

대상 이유
펠빈산/NSAID 알레르기 환자 아나필락시스 위험
위궤양/위장 출혈 병력자 위출혈 악화 우려
심한 간장애/신장애 환자 약물 대사·배설 저하
임신 후기 여성 태아 동맥관 폐쇄 가능성
소화성 궤양 진행 중인 환자 위 점막 손상 가능

설명: 특히 아스피린천식, 궤양성 환자, 심혈관계 이상 환자는 반드시 의사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.


⚠️ 신중 복용이 필요한 환자

복용이 금지는 아니지만, 다음 대상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.

🧾 주의 복용 대상자

대상 사유
고령자 위 출혈 및 신장 기능 저하 우려
고혈압 환자 혈압 상승 가능성
심혈관 질환자 장기복용 시 위험 증가 가능
간·신장질환 병력자 대사기능 저하 가능성
이뇨제 복용자 전해질 불균형 발생 가능

설명: 펠루비정은 일반 소염진통제보다 안전하지만, 기저질환이 있다면 복용 전 의료진 상담이 필수입니다.


😨 자주 보고된 부작용

펠루비정은 위장관계 부작용이 적은 NSAID지만,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드물게 보고됩니다.

🧾 부작용 정리

분류 주요 부작용
소화기계 속쓰림, 위통, 복통
피부 발진, 두드러기, 가려움
신경계 어지러움, 졸음
간기능 간수치 상승 (ALT/AST 증가)
심혈관계 부종, 혈압 상승 (드물게)
혈액계 빈혈, 백혈구 수치 변화 (희귀)

설명: 대부분의 부작용은 일시적이지만, 증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복용 중단 및 진료가 필요합니다.


✅ 마무리 정리

펠루비정은 단순 진통제를 넘어, 염증까지 잡아주는 COX-2 선택적 억제 소염진통제입니다.
관절염, 요통, 외상성 통증 등 만성 또는 급성 통증 질환에 효과적이며,
위장 부작용도 비교적 적어 장기 복용에 적합한 약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
하지만 모든 약이 그렇듯, 복용 전 개인 건강 상태에 따른 적합성 판단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,
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